0-1. 데이터베이스 개요

개린이네 ㅣ 2024. 4. 2. 23:30

Data: 의미 없는 값(실제 값) 
  * 의미가 생기면 information(정보)

Database: 어떤 조직 안에서 필요한 정보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
                 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 모아서 중복되는 데이터 없애고 구조적으로 통합/저장

 

운영 데이터(Operational Data) : 조직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

공용 데이터(Shared Data):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

통합 데이터(Integrated Data): 중복 최소화하고 중복으로 인한 데이터 불일치 현상 제거

저장 데이터(Stored Data): 컴퓨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

 

oracle21 - connection conn 하게 해줌 => tomcat/browser/sqlplus/sqlDeveloper 통해 접근

 

 

 

특징
1. 실시간 접근성

   - commit/rollback
     (둘다 하지 않은 상태의 insert/update/delete 하면 lock 상태여서 접근 못함)
2. 계속적인 변화

3. 동시 공유(concurrent sharing)

4. 내용에 따른 참조
  - 물리적 위치가 아닌 content(데이터 값)에 따라 참조
            => PK(index) 때문에 찾기 빠름
      => table/column 명으로는 찾아주지만 위치? 몰라…

⇔ Java 참조형 reference Type = 클래스명(주소를 가지고 움직임 -> 위치(얕은 복사))
      -> 주소 사라지면 찾아갈 수 없음

 

 

DBMS: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추출, 조작, 정의, 제어 등을 할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베이스 전용 관리 프로그램

기능

1. 데이터 추출(Retrieval)
    : 사용자가 조회하는 데이터 혹은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추출
     => select
2. 데이터 조작(Manipulation)

   : 데이터 조작하는 

     => insert/update/delete(CRUD - insert/select/update/delete)

3. 데이터 정의(Definition)

   : 데이터 구조 정의하고 데이터 구조에 대한 삭제 및 변경 기능 수행

     => Create/Alter/Drop

4. 데이터 제어(Control) - 사용자/table에 대한 제어 다 가능

    :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생성, 모니터링, 접근 제어 백업과 회복, 동시성 제어 등 기능 지원
    => Grant(connect to Scott; - 권한 부여), Revoke(권한 회수), Commit/Rollback

 

 

DBMS 사용 이점

1. 데이터 독립화
2. 데이터 중복 최소화, 데이터 무결성 보장(=불일치 현상 제거)
    => FK 가 필요

3. 데이터 보안 향상

4. 관리 편의성 향상

'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4. PROCEDURE & FUNCTION  (0) 2024.04.03
13. PL/SQL  (1) 2024.04.03
0-2. 개발환경구축  (0) 2024.04.03
10. ORACLE OBJECT SEQUENCE  (0) 2024.04.02
11. ORACLE OBJECT INDEX  (0) 2024.04.01